본문 바로가기
IT개발/개발 Tools

vscode settings sync

by jusyBear 2023. 11. 29.
반응형

나 같은 경우 VSCode를 집에서도 쓰고, 노트북에서도 쓰고, 회사에서도 쓰고, 본가 내려가면 본가 컴퓨터에도 vscode를 사용한다.

 

이렇게 vscode를 여러 장소, 여러 기기에서 사용하다 보니 vscode의 setting을 맞춰 주는게 정말 너무 힘들다. 이럴 경우 vscode에서 extension으로 Settings Sync가 존재한다.

 

사용 방법은 위에 참고문서로 작성해 둔 블로그들이 잘 설명해 주는데, 나는 하나만 더 추가 하려고 한다.

이게 처음 사용을 해보니깐 History/XXXX 하는 파일들이 너무 많이 생긴다. Vscode를 처음 사용하고 나서 세팅을 한게 아니여서 그런가? 내가 작성했던 코드, 설정 등등 모든게 다 히스토리로 저장이 되어 있는거 같다.

그래서 History를 settings sync에 업로드 하지 않는 방법을 작성하려고 한다.

 

우선 syncLocalSettings.json 파일을 열자!

settings.json파일은 ctrl + shift + P 를 하고 setting를 입력하면 Open User Settings(JSON)으로 해서 나오는데 syncLocalSettings.json 파일은 찾을 수가 없다.

 

이 경우 window 기준으로 찾는 방법은 window + R를 하고 %Appdata%를 검색하면 C:\\Users\\user\\AppData\\Roaming 요런 폴더가 열린다. 물론 경로를 찾아가도 된다. (이 경우 숨겨져 있을 확률이 높다) 그리고 C:\\Users\\user\\AppData\\Roaming\\Code\\User 폴더로 이동을 하게 되면 우리가 찾는 syncLocalSettings.json 파일을 찾을 수 있다.

 

그 뒤에

"ignoreUploadFolders": [
        "workspaceStorage"
],

위 부분에 “History”를 추가해 주면 된다.

아! 그리고 아마 token이 퍼블릭 토큰으로 등록이 되어 있을 건데, 이건 바꿔주는게 더 좋다고 생각이 든다.

syncLocalSettings.json파일을 설정하는건 설정을 업로드 하는 부분에서만 수정해주면 되고 설정을 다운 받아서 사용해주는 부분은 업로드 필요없이 설정을 다운받아서 사용하면 된다.

물론 다운 받아서 사용하다가 extension을 추가한다던가, user setting.json 파일을 변경해서 snyc를 맞춰줘야 한다고 하면 당연히 설정을 고쳐주고 업로드 시켜줘야 한다. 그 경우를 제외하고는 그냥 사용하면 될듯!

 

참고

https://kimyejin.tistory.com/entry/VS-Code-환경설정-동기화로-편리하게-사용하자 https://k0102575.github.io/articles/2020-04/settings-sync

 

VS Code - 설정 동기화(Settings Sync)

VS Code - 설정 동기화

k0102575.github.io

 

VS Code 환경설정 동기화로 편리하게 사용하자

1. Extension에서 Settings Sync 를 인스톨한다. Settings Sync를 시작하려면 아래 두 가지가 필요하다. GitHub Token GitHub Gist Id 2. Github Token 발급 방법 Github 로그인 후, Settings > Developeer settings > Personal access token

kimyejin.tistory.com

 

반응형

'IT개발 > 개발 Tools' 카테고리의 다른 글

VS code에서 c++ 사용가능하게 세팅하기  (0) 2020.08.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