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일목균형표
주가의 움직임을 5개의 의미 있는 선을 이용하여 주가를 예측하는 기법이다.
특정 기간의 최대 가격고점과 가격저점을 이용하여 만드는 지표 → 종가를 바탕으로 작성되는 이동평균선과 다르게 특정 기간의 고가와 저가의 평균값을 내어 지표를 작성
5개의 의미 있는 선
- 전환선
- 기준선
- 선행 스팬 1
- 선행 스팬 2
- 후행 스팬
특히 선행 스팬 1과 선행 스팬 2 사이를 구름으로 표시
전환선
(과거 9일 동안 최고가 + 최저가) / 2
당일을 포함한 9일 동안의 최고가와 최저가의 중간 값을 평균으로 나타낸 선(단기 이동평균선)
기준선
(과거 26일 동안 최고가 + 최저가) / 2
당일을 포함한 26일 동안의 최고가와 최저가의 중간 값을 평균으로 나타낸 선(중기 이동평균선)
선행 스팬 1
{(기준선 + 전환선) / 2}를 26일 선행하여 배치
전환선과 기준선의 평균값을 구해 당일 포함 26일 앞으로 이동시킨 것(중-단기 구간의 힘을 보여줌)
선행 스팬 2
{(최근 52일 동안 최고가 + 최저가) / 2}를 26일 선행하여 배치
당일을 포함한 52일 동안의 최고가와 최저가의 평균을 26일 앞에 배치하여 만든 선(장기적으로 형성된 선이기 때문에 가장 느리게 변함)
후행 스팬
후행 스팬이 기존 캔들을 뚫고 올라갈 때, 앞으로 주가 상승 추세가 있다고 본다.
당일 종가를 당일 포함 26일 전의 위치에 나타낸 선
매매 신호
첫 번째 - 구름과 캔들의 관계
- 캔들이 구름 위에서 생성되면 상승 추세, 캔들이 구름 밑에서 생겨나면 하락 추세로 알려져 있다.
- 캔들이 구름 밑에서 위로 돌파하면 상승 추세로의 전환을 의미
- 캔들이 위에서 아래로 뚫고 내려가면 하락 추세로의 전환을 의미
두 번째 - 전환선과 기준선의 관계
- 기준선은 중기적인 추세를 나타내는 선이기 때문에, 가격이 기준선 위에 존재하면 상승 추세, 아래 쪽에 존재하면 하락 추세를 의미
- 전환선을 추가하면 전환선이 기준선 위로 돌파하면 (골든 크로스) 상승 추세
- 데드 크로스가 발생하면 하락 추세
세 번째 - 후행 스팬
- 후행 스팬이 26일 전 캔들을 상승 돌파할 경우에는 강세 장으로 진입을, 반대로 후행스팬이 26일 전 캔들 아래로 뚫고 내려가면 약세장으로 전환이 나타난다.
- 강세 장에서 후행스팬이 캔들을 하향 이탈한 후 반들할 때 캔들의 저항을 받고 다시 하락하게 되면 하락 추세로 진입했다는 것으로 판단
- 후행 스팬이 캔들을 상승 돌파한 뒤 다시 하락할 때 캔들을 지지선 삼아 다시 상승하면 완전한 상승 추세로 진입했다고 판단
이 밖에도 총 7권의 원서가 존재할 만큼 내용이 심오하고 방대하여 이를 완전히 이해할 수 있는 사람이 매우 드문 것으로 알려져 있음
반응형
'기타 >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투자 용어 정리(선물) (0) | 2024.04.03 |
---|---|
MACD(Moving Average Convergence Divergence) (0) | 2023.08.07 |